본문 바로가기
  • LIFE IS A JOURNEY

게임회사 직군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by sean979 2023. 12. 3.

목차

    콘솔 게임을 지나 스마트폰이 출시되면서 게임은 실생활에서 빠트릴 수 없는 하나의 콘텐츠로 자리를 잡았습니다. 게임을 좋아하다 보니 게임 개발에 대한 관심도 커지는데 게임 회사의 직군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PD, 기획자, 프로그래머(클라, 서버), 아트, 사운드, 스토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시나리오 작가, QA 등의 직군이 있습니다. 

     

    개발자가-모니터를-보며-코드를-작성하는-모습포스트잇-메모지에-아이디어를-적고-회의를-하는-사무실-풍경

    게임회사 직군

    작은 규모의 스타트업 경우에는 모든 직군이 똘똘뭉쳐 기획 단계에서부터 같이 회의를 진행하며 방향성을 정하고 하지만 어느 정도 규모가 생기면 본인의 직군에 일을 주된 업무로 진행하게 됩니다.

    PD(프로듀서)

    PD의 경우 해당 직종의 경험이 많은 사람이 많습니다. 그 이유로는 게임 개발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게임 개발을 할 수 있는 팀의 역량이 충분한지도 따지기도 하며, 그에 따른 개발 인력과 예산을 결정해서 프로젝트 매출과 이익에 대한 책임을 지게 됩니다. 

     

    그렇다고 해서 게임 자체에 관여를 아예 하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게임의 품질에 대해서도 지시를 진행하기도 하며 전체적인 개발단계에서부터 서비스까지 깊은 관여를 하는 직무입니다.

    디렉터

    PD가 디렉터를 겸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디텍터는 개발 현장의 수장으로 개발 지식이 있어야 하는데 대부분 개발자, 기획자 출신들이 많이 있습니다. 세부적인 사양을 비롯하여 게임을 완성할 수 있도록 이끄는 역할을 하며 기획단계에도 참여하여 방향성에 맞는 피드백을 전달하기도 하며 외주가 필요한 경우 디렉터가 창구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개발직군의 수장이기 때문에 개발이나 기획 또는 아트에 관련한 지식이 어느 정도 있어야 하는 부분이기도 하지만 더러는 회사 대표가 하이 피처를 정하여 디렉터를 맡는 경우도 있습니다.

    PM (프로젝트 매니져)

    PM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각 직군에서 일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일정을 조율하는 업무를 갖습니다. 또한 대형회사와 투자 계약으로 이뤄진다면 투자사인 사업부 인원들과 매출증대 등의 관련 회의를 진행하여 게임에 녹이기도 하며, 개발 직군들의 일정이 딜레이 될 때에는 병목현상이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일정 조율등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프로그래머

    게임 업계에서는 프로그래머라는 직군보다는 클라, 서버로 구분 짓는 경우가 많습니다. 클라의 경우 게임이 구동될 수 있도록 게임 코드를 개발하는 사람들을 뜻하며, 서버 프로그래머는 서버 세팅 및 클라이언트 개발자와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및 DB에 관련된 업무를 맡아 진행하게 됩니다.

     

    큰 회사의 경우 인프라팀에서 서버 환경을 세팅하기도 하며 DBA가 DB가 효율적으로 구동되도록 작업을 진행하기도 합니다.

    아트(디자이너)

    아트 직군에는 2D 디자이너, 3D 디자이너, 이펙터 등으로 나눌 수 있지만 작은 회사의 경우 디자이너가 유니티, 코코스, 언리얼 같은 개발 툴에 UI를 얹는 작업을 병행하기도 합니다. 

     

    게임 방향성에 따라 원화 디자이너가 투입되기도 하며, 디자이너 직군들은 기획자의 기획 문서에 따라 의도를 파악하고 기능을 파악하여 UI를 제작하며 더 좋은 의견이 있는 경우 기획자와 논의하여 발전된 방향으로 변경을 하기도 합니다.

    사운드 디자이너

    모든 게임에는 이펙트, BGM 등의 사운드가 필수로 들어가게 됩니다. 큰 회사에서도 사운드 팀 단위가 없는 곳이 많지만 있더라도 소수의 인원으로 필요한 사운드를 제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리듬 게임의 경우 운용되는 방식에 따라 다수의 인원이 투입되어 실제 악기를 미디나 MP3로 제작하여 제공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시나리오 작가

    롤 플레잉 게임처럼 전체적인 스토리 요소가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경우 집필 작업을 하는 전문가로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게임의 완성도를 높여가면서 몰입도를 가져오는 역할을 합니다. 작은 회사에서는 콘텐츠 성향이 강한 기획자가 대신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기획자

    콘텐츠 성향 또는 시스템 성향을 가진 기획자가 존재하는데 콘텐츠 성향 기획자가 기획을 하게 되면 시스템 기획자가 콘텐츠를 이해하고 개발 직군이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계산방식이나 데이터 테이블의 가안을 만들어 제공을 합니다.

     

    게임 밸런스를 계산 및 조절하여 게임에 반영하기도 하며, 기획자는 PM의 역할을 맡는 경우도 있고 시나리오, 스크립터의 업무를 대신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게임 개발에 가장 먼저 투입되어 개발 직군들이 작업할 수 있도록 기획서를 작성하며, 기획대로 게임이 잘 제작되었는지 확인하는 QA 업무도 병행하기도 합니다.

    QA

    게임 기획서에 맞게 게임이 제작 되었는지 QA 리스트를 작성하여 중요 사안인지 패스할 수 있는 사안인지 등으로 체크하는 팀입니다. 반복 업무가 많기도 하지만 꼼꼼한 성격이 필요한 직군이며 데이터가 맞게 들어오는지 동작은 올바르게 하는지 일반 유저에게 배포되기 전 버그 등을 찾아내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맨티스, 지라 등의 툴을 이용하여 리포팅하며 버그 발생 시 알맞는 팀을 태그 하여 수정 리스트를 작성하여 수정이 되면 재확인을 하고 완료 여부도 체크하게 됩니다.

     

    게임회사에 입사하기 위해서는 각 직군에 맞는 디자인툴, 개발 언어 등을 익혀야 하며 게임 관련 학원이나 학과를 통해 취업을 진행하기도 합니다. 

     

    디자인 직군은 포트폴리오를 시작적으로 볼 수 있도록 준비하고, 기획자는 역기획 또는 본인의 게임 기획서 등을 준비해야 하며 프로그래머 역시 면접 시 손코딩을 보기도 하며 라이브 된 게임이 있는 경우 얼마나 참여도가 있는지 경력기술서서 명시해야 합니다.

     

     

    댓글